영업현금흐름(OCF, Operating Cash Flow)
영업현금흐름(OCF, Operating Cash Flow)
기본 개념 및 용어사전
재무·회계 용어
영업현금흐름(OCF, Operating Cash Flow)은
기업의 본업(영업활동)에서 실제로 창출되거나 사용된 현금의 흐름을 의미한다.
손익계산서의 순이익(Net Income)과 달리,
비현금 항목(감가상각·충당부채)과 운전자본 변동(재고·매출채권·매입채무 등)을 반영하여
기업의 실질적인 현금창출력(Cash-generating ability) 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OCF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 차입 상환능력, 배당여력, 투자 여력 판단의 핵심 기준이다.

1. 영업현금흐름이란? (Definition of Operating Cash Flow)
영업현금흐름은 기업의 정상적인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현금 유입(Cash Inflow) – 현금 유출(Cash Outflow) 의 차이를 의미한다.
주요 구성:
  • 고객으로부터 받은 현금(매출 현금화)
  • 재고·원재료 구입에 지급한 현금
  • 임직원 급여·판매비·운영비 지급
  • 이자·법인세 관련 영업활동 현금지출(표시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OCF는 영업이익 + 비현금조정 + 운전자본 변동으로 계산된다.
관련 용어: OCF, Cash Flow from Operations, CFO

2. OCF 계산 구조 (How OCF Is Calculated)
현금흐름표(Indirect Method) 기준:
  1. 당기순이익(Net Income)
  2. + 비현금 항목 조정
    • 감가상각비
    • 충당부채 변화
    • 손상차손
    • 이연법인세 등
  3. ± 운전자본 변동(Working Capital Changes)
    • 매출채권 증가 → 현금 유출
    • 재고 증가 → 현금 유출
    • 매입채무 증가 → 현금 유입
  4. = 영업활동 현금흐름(Operating Cash Flow)
핵심 포인트:
순이익이 높아도 OCF가 낮으면 재무 리스크가 큰 기업일 수 있다.
관련 용어: Depreciation, Working Capital, Indirect Method

3. OCF가 중요한 이유 (Why OCF Matters)
(1) 기업의 본업 수익성의 “현금 버전”
회계상 이익은 비현금 요소가 많으므로,
OCF가 실제 영업건전성을 더 정확하게 보여준다.
(2) 차입금 상환 능력 평가
은행·PEF·채권자가 가장 중시하는 지표 중 하나.
(3) 배당·투자 여력 판단
OCF가 강한 기업은 지속적 CAPEX·배당·M&A 여력이 크다.
(4) 부실 징후 조기 경고
순이익은 흑자인데 OCF가 지속적으로 음수면
재무구조 악화 신호 가능.
관련 용어: Liquidity, Solvency, Free Cash Flow

4. OCF vs 순이익 (Net Income)
구분
영업현금흐름(OCF)
당기순이익(Net Income)
의미
실제 현금창출력
회계상 이익
반영 항목
비현금 + 운전자본
수익·비용 중심
변동성
낮음(실질 중심)
높음(회계정책 영향)
투자자 해석
기업 체력 평가
수익성 평가
OCF는 기업의 실제 운영현황,
순이익은 회계적 성과를 보여준다.

5. Free Cash Flow와의 관계 (OCF → FCF)
자유현금흐름(FCF)은:
FCF = OCF – CAPEX
즉, OCF가 아무리 높아도
CAPEX가 크면 FCF는 줄어든다.
관련 용어: CAPEX, FCF, Maintenance Capex

6. 실무 해석 포인트 (Practical Interpretation)
  • OCF가 순이익보다 낮으면?
    → 재고 증가·매출채권 증가 등 운전자본 악화 가능성
  • OCF가 순이익보다 지속적으로 높으면?
    → 고품질 수익 구조
  • OCF가 음수인 기업
    → 스타트업·성장산업은 예외지만,
    성숙 산업에서는 위험 신호
  • M&A 실사(Due Diligence)
    PEF·전략적 투자자는
    Adjusted OCF(조정 OCF) 또는 Normalized OCF 사용
    → 일회성 항목 제거, 재고/채권 조정 반영
관련 용어: Adjusted OCF, Normalized Cash Flow

7. 간단 예시 (Illustrative Example)
A기업
  • 순이익 50억
  • 감가상각비 30억
  • 매출채권 증가 10억
  • 매입채무 증가 5억
  • 재고 증가 8억
OCF =
50 + 30 – 10 + 5 – 8
= 67억 원
이 67억 원이 실제로 본업에서 유입된 현금이며,
기업은 이를 기반으로 차입을 상환하고 신규 투자를 집행할 수 있다.
관련 용어: Operating Cash Flow, Cash Conversion

8. 핵심 정리 (Key Takeaways)
  • OCF는 “본업에서 실제로 벌어들인 현금”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 순이익과 다르게 비현금 항목·운전자본 변동을 반영한다.
  • 부채상환 능력·배당·M&A 여력 평가에서 핵심이다.
  • 투자자·PEF·은행은 EBITDA보다 OCF를 더 중시하기도 한다.
관련 용어: OCF, CFO, Cash Flow Statement

참고자료 (References)

Related Articles
EBITDA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당기순이익(Net Income)
FCF(자유현금흐름)
운전자본(Working Capital)
손익계산서 / 현금흐름표
 
쿠키딜 플랫폼
쿠키딜은 어떤 플랫폼인가요?
쿠키딜은 대한민국 중소기업(SME)의 매각, 투자 유치, 및 M&A를 지원하는 프라이빗 딜 네트워크​입니다. 매도자, 매수자, M&A 관계자를 연결하여 거래의 효율성과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플랫폼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