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공개 (IPO)
기업공개 (IPO)
기본 개념 및 용어사전
거래구조·M&A 절차 용어
기업공개(IPO, Initial Public Offering)는
비상장 기업이 최초로 주식을 일반 투자자에게 공개하여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고 상장사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IPO는 기업 가치 제고·자금 조달·지배구조 투명성 강화·브랜드 신뢰도 상승 등 다양한 전략적 효과를 가진다.
한국에서는 KOSPI·KOSDAQ 시장 상장요건·심사제도·공모 절차에 따라 진행된다.

1. IPO란? (Definition of IPO)
IPO는 기업이 보유한 주식을
기관·일반투자자에게 공개적으로 판매하고 거래소에 상장하는 과정이며,
상장 후 주식은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된다.
IPO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성장자금 확보(설비·R&D·해외진출)
  • 기존 주주의 지분 현금화(Exit)
  • 브랜드·신뢰도 향상
  • 인재 유치(주식보상제도)
  • 기업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관련 용어: IPO, Listing, Public Offering

2. IPO의 주요 방식 (Methods of IPO)
(1) 신주발행 공모 (Primary Offering)
기업이 신규 주식을 발행하여 투자자로부터 자금 조달
→ 기업에 직접 자금 유입
(2) 구주매출 (Secondary Offering)
기존 주주(VC·PEF·오너)가 보유 지분 일부 매각
→ 기존 주주의 Exit 목적
(3) 혼합 방식
신주 + 구주 병행
→ 성장자금 조달 + 투자자 Exit 균형
관련 용어: Primary / Secondary Offering

3. 상장 요건 (Listing Requirements)
한국 IPO는 거래소(KRX)의 시장별 상장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KOSPI 주요 요건
  • 일정 규모 이상의 자기자본 및 시가총액
  • 최근 실적 또는 이익 요건
  • 감사의견 적정
  • 내부통제 구축
KOSDAQ 주요 요건
  • 기술성장기업 특례 제도 존재
  • 영업이익·매출 기준 완화
  • 기술성 심사 활용 가능
공통
  • 기업지배구조·재무투명성
  • 내부통제 제도
  • 상장 적격성 심사
관련 용어: KOSPI, KOSDAQ, 기술특례

4. IPO 절차 (IPO Process)
① 주간사 선정
증권사(IB)가 주관
평가·심사·공모 전략 수립
② 예비실사(Due Diligence)
재무·법무·세무·사업 위험 검토
내부통제 점검
③ 증권신고서·IR 준비
IPO 스토리라인 구성
재무/사업 정보 공시 준비
④ 상장예비심사 청구
거래소(KRX) 심사
기술평가(필요 시 병행)
⑤ 공모가 산정(수요예측)
기관투자자 수요 기반 Book-building
밸류에이션 확정
⑥ 일반 청약
일반투자자 청약 배정
⑦ 상장 및 거래 개시
정식 상장
유통제한물량(Lock-up) 적용 가능
관련 용어: Book-building, Lock-up, IR

5. IPO 밸류에이션 (Valuation Approaches)
방식
설명
활용
PER 비교법
유사업종 PER 기반 비교
안정적 수익 기업
EV/EBITDA
이익창출력 중심 평가
중견·제조·서비스업
DCF
미래 현금흐름 기반
고성장·기술기업
기술평가 기반
기술특례 기업 활용
기술 스타트업
IPO에서는 상장 후 유통량·수요예측 결과도 밸류에이션에 영향.
관련 용어: PER, EV/EBITDA, DCF

6. IPO의 장점과 리스크 (Benefits & Risks)
장점
  • 대규모 자금 조달 가능
  • 기업 인지도·브랜드 가치 상승
  • 지분 유동성 강화
  • 인재 유치(ESOP·스톡옵션)
리스크
  • 공시 부담 및 규제 준수 강화
  • 비용 증가(회계·법무·IR·심사)
  • 단기 실적 중심 압력
  • 상장 후 주가 변동성 리스크
관련 용어: ESOP, Disclosure, Market Volatility

7. IPO와 Exit 전략 (Exit Strategy)
IPO는 PEF·VC의 대표적인 Exit 방식이다:
  • 구주매출 통한 회수
  • 상장 후 블록딜(Block Deal)
  • Lock-up 이후 단계적 매각
스타트업은 기술특례 IPO 등 제도를 활용해 조기 상장 전략을 활용하기도 한다.
관련 용어: Exit, Block Deal, Secondary Sale

8. 간단 시나리오 예시 (Illustrative Example)
A사는 성장자금 확보를 위해 KOSDAQ 기술특례로 IPO를 진행하였다.
기관 수요예측 결과 공모가는 희망밴드 상단에서 결정되었으며,
상장 후 확보한 자금은 제품 개발·글로벌 확장에 사용되었다.
PEF 투자자는 구주매출 일부로 Exit에 성공하였다.
관련 용어: Book-building, 기술특례, Exit

9. 핵심 정리 (Key Takeaways)
  • IPO는 기업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전략적 자금조달 프로세스이다.
  • 공모 구조(신주/구주), 상장 요건, 수요예측, 공시 의무가 핵심 요소이다.
  • 한국 상장 시장은 KOSPI·KOSDAQ으로 구분되며 기술특례 등 여러 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 IPO는 단순한 자금조달 수단이 아니라 기업가치 재편·Exit 전략까지 포함하는 종합 프로세스이다.
관련 용어: IPO, Public Offering, Listing, Valuation

참고자료 (References)
  1. Korea Exchange (KRX). 상장심사 가이드북 및 상장심사자료실
    https://kind.krx.co.kr/listinvstg/listinvstginfo.do?method=searchListInvstgInfoMain KIND 

Related Articles
주식매매계약(SPA)
실사(Due Diligence)
텀싯(Termsheet)
기업분할(Spin-off / Split-off)
지분 매각(Divestiture)
Exit 전략 (IPO·Trade Sale·Secondary Sale)
 
쿠키딜 플랫폼
쿠키딜은 어떤 플랫폼인가요?
쿠키딜은 대한민국 중소기업(SME)의 매각, 투자 유치, 및 M&A를 지원하는 프라이빗 딜 네트워크​입니다. 매도자, 매수자, M&A 관계자를 연결하여 거래의 효율성과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플랫폼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