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권(Goodwill)은 기업 인수 시 지급한 대가가 피인수기업의 식별가능한 순자산 공정가치를 초과하는 금액을 말한다.
즉, 회계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브랜드·기술력·노하우·고객기반·조직 문화·시너지 기대효과 등에 대해 매수자가 지불한 초과 가치이다.
K-IFRS와 IFRS 모두 영업권을 취득 시점에만 인식하며, 이후 상각하지 않고 매년 손상검사(Impairment Test) 를 수행한다.
즉, 회계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브랜드·기술력·노하우·고객기반·조직 문화·시너지 기대효과 등에 대해 매수자가 지불한 초과 가치이다.
K-IFRS와 IFRS 모두 영업권을 취득 시점에만 인식하며, 이후 상각하지 않고 매년 손상검사(Impairment Test) 를 수행한다.
1. 영업권이란? (Definition of Goodwill)
영업권은 인수대가(Purchase Consideration)와
피인수기업의 식별가능한 자산·부채의 공정가치(Net Assets FV) 차액으로 산출된다.수식:
Goodwill = 인수대가 – 순자산 공정가치영업권은 다음과 같은 무형적 기대가치를 반영한다.
피인수기업의 식별가능한 자산·부채의 공정가치(Net Assets FV) 차액으로 산출된다.수식:
Goodwill = 인수대가 – 순자산 공정가치영업권은 다음과 같은 무형적 기대가치를 반영한다.
- 브랜드 가치·평판
- 고객 충성도
- 유통·네트워크
- 기술 및 데이터
- 핵심 인재
- 규모의 경제·시너지
- 시장 지위
관련 용어: Goodwill, PPA, Fair Value, Intangible Assets
2. 영업권의 인식 요건 (Recognition Criteria)
영업권은 사업결합(Business Combination) 상황에서만 인식된다.
- 개별 자산 매입에서는 영업권 인식 불가
- 내부적으로 발생한 영업권(내부 브랜드, 조직문화 등)은 자산으로 인정되지 않음
- 인수자가 지불한 초과 대가가 “미래 경제적 효익”에 해당해야 함
관련 용어: Business Combination, Acquisition Method
3. 영업권 산정 과정 (How Goodwill Is Calculated)
사업결합 시 수행되는 취득가격배분(PPA, Purchase Price Allocation) 절차를 통해 산출된다.
단계별 흐름:
- 인수대가 측정(현금·주식·조건부대가 포함)
- 피인수기업의 식별가능 자산·부채의 공정가치 평가
- 무형자산(브랜드, 고객계약, 기술 등) 개별 식별
- 순자산 공정가치 산정
- 인수대가 – 순자산 공정가치 = 영업권
관련 용어: PPA, FV Measurement, Identifiable Intangibles
4. 영업권의 회계처리 (Accounting Treatment under K-IFRS/IFRS)
(1) 취득 시점
- 영업권 인식
- 무형자산 개별 식별 및 공정가치 평가
(2) 이후 회계처리
- 상각하지 않음 (No Amortization)
- 연 1회 이상 손상검사(Impairment Test) 필수
- 손상 발생 시 즉시 비용 처리
(3) 손상검사
- 현금창출단위(CGU) 단위로 평가
- 미래 현금흐름 기반 회수가능금액(Recoverable Amount) 산정
- 장부금액 > 회수가능금액 → 손상차손 인식
관련 용어: CGU, Impairment Loss, Recoverable Amount
5. 영업권의 해석 포인트 (Interpretation in Practice)
기업 분석에서 영업권은 다음과 같이 활용된다.
- 과거 인수의 성과 평가
영업권 증가 = 인수 확대
손상 발생 = 인수 실패·가치 하락 신호 - 재무적 건전성 판단
자산 중 영업권 비중이 높은 기업은
경기 변동 시 손상 위험 증가 - PEF 및 M&A 실무
구매가격 구조와 PPA에서 영업권 규모가
매각·재무전략 결정에 중요한 변수
관련 용어: Purchase Premium, Impairment Indicator
6. 간단 예시 (Illustrative Example)
A사가 B사를 1,000억 원에 인수했고,
B사의 식별가능 순자산 공정가치가 700억 원일 경우:영업권 = 1,000억 – 700억 = 300억 원이 300억 원은 브랜드·기술·고객관계·시너지 기대 등
측정 불가능한 무형가치에 대해 매수자가 지불한 프리미엄이다.
이후 매년 손상검사를 수행하여 가치 감소 여부를 평가한다.
B사의 식별가능 순자산 공정가치가 700억 원일 경우:영업권 = 1,000억 – 700억 = 300억 원이 300억 원은 브랜드·기술·고객관계·시너지 기대 등
측정 불가능한 무형가치에 대해 매수자가 지불한 프리미엄이다.
이후 매년 손상검사를 수행하여 가치 감소 여부를 평가한다.
관련 용어: Premium, Synergy Value
7. 핵심 정리 (Key Takeaways)
- 영업권은 사업결합 시 인수대가가 순자산 공정가치를 초과하는 금액이다.
- 내부적으로 발생한 영업권은 회계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 영업권은 상각하지 않고 매년 손상검사를 실시한다.
- 영업권 손상은 인수 전략 실패, 시너지 미실현 등 기업 리스크의 신호일 수 있다.
관련 용어: Goodwill, Impairment Test, PPA, CGU
참고자료 (References)
- “Recommendations on Accounting for Goodwill” (IOSCO) https://www.iosco.org/library/pubdocs/pdf/IOSCOPD753.pdf IOSCO
- “IAS 36 Impairment of Assets” (IAS 36) 공식 안내 (IFRS Foundation) — https://www.ifrs.org/issued-standards/list-of-standards/ias-36-impairment-of-assets/ IFRS Foundation
- “Business Combinations—Disclosures, Goodwill and Impairment” (IFRS Foundation 프로젝트 페이지) — https://www.ifrs.org/projects/work-plan/goodwill-and-impairment
관련 글 (Related Articles)
무형자산(Intangible Assets)
지분 매각(Divestiture)
주식매매계약(SPA)
실사(Due Diligence)
PPA(취득가격배분)
지분 매각(Divestiture)
주식매매계약(SPA)
실사(Due Diligence)
PPA(취득가격배분)

쿠키딜은 어떤 플랫폼인가요?
쿠키딜은 대한민국 중소기업(SME)의 매각, 투자 유치, 및 M&A를 지원하는 프라이빗 딜 네트워크입니다. 매도자, 매수자, M&A 관계자를 연결하여 거래의 효율성과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