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매각 vs 주식 매각 (Asset Sale vs Stock Sale)
자산 매각 vs 주식 매각 (Asset Sale vs Stock Sale)
기본 개념 및 용어사전
거래구조·M&A 절차 용어
자산 매각(Asset Sale)과 주식 매각(Stock Sale)은 M&A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기본 구조이다.
두 방식은 승계 범위·세무·계약 구조·규제 부담·실사 범위가 완전히 다르며,
거래의 목적·리스크·비용·속도에 따라 적합성이 달라진다.
한국 M&A 실무에서는 구조조정·비핵심사업 정리·PEF 거래·전략적 인수 등 상황에 따라
두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필요 시 혼합 구조로 설계한다.

1. 개념 비교 (Definition Overview)
자산 매각 (Asset Sale)
기업이 보유한 특정 자산·부채·사업부·영업 일체를 선별하여 이전하는 구조
→ 법인은 동일하게 존속하며, 자산만 이동한다.
주식 매각 (Stock Sale)
주주가 보유한 주식(지분) 을 매수자에게 양도하는 구조
→ 법인은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지배구조와 소유권이 변경된다.
관련 용어: Asset Deal, Stock Deal, APA, SPA

2. 구조의 본질적 차이 (Fundamental Differences)
구분
자산 매각 (Asset Sale)
주식 매각 (Stock Sale)
대상
자산·부채·계약·인력 등 선택적 인수
지분(주식)을 1회 양도
법인 승계 여부
법인은 동일, 사업만 이동
법인은 동일, 지배구조만 변경
리스크 승계
선별 가능(Cherry-pick)
모든 자산·부채·우발채무 승계 가능
계약 구조
APA(자산양수도계약) 개별 항목 명시
SPA(주식매매계약) 1건으로 처리
승계 난이도
계약·직원·인허가 개별 이전 필요
법인은 동일하므로 상대적으로 간단
규제 인허가
인허가 재취득 필요 가능
기존 인허가 유지
세무
부가세·취득세 등 복합세 부담
주식양도소득세 중심
실사 범위
양도 범위 중심
법인 전체 DD 필요

3. 자산 매각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Asset Sale)
장점
  • 인수자가 원하는 자산만 선택적으로 인수
  • 부실자산·우발채무 승계 회피 가능
  • 구조조정·사업 철수에 최적
  • 사업부별 Carve-out이 가능
단점
  • 계약·직원·인허가 재승계 절차 복잡
  • 세금 부담 증가(취득세·부가세 등)
  • 거래 속도 지연 가능
  • 영업 양도 시 고객·거래처 유지 리스크
관련 용어: Carve-out, APA, Business Transfer

4. 주식 매각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Stock Sale)
장점
  • 법인은 동일하게 존속하므로 승계가 단순
  • 계약·직원·인허가 대부분 그대로 유지
  • 거래 속도가 빠르고 비용 절감
  • 매도자·매수자 모두 구조가 명확
단점
  • 숨겨진 부채·우발채무 모두 승계
  • R&W 위반 리스크 증가
  • 지배구조·소송·규제 리스크 확인 필요
  • PEF 매각 시 제한적 정보 공개가 문제될 수 있음
관련 용어: SPA, R&W, Indemnity

5. 세무·회계 측면에서의 비교 (Tax & Accounting Comparison)
관점
자산 매각
주식 매각
회계 처리
자산 제거 → 처분손익 반영
주주의 회계 이벤트 / 기업은 동일
세금
취득세·부가세·양도세 등 복합 부담
주식 양도차익 과세(개인/법인)
우발채무
필요 시 제외 가능
대부분 포함
감가상각
인수자 기준 신규 취득
변경 없음
관련 용어: Capital Gains Tax, VAT, Acquisition Tax

6. 실사(Due Diligence) 관점 비교 (DD Perspective)
자산 매각 DD
  • 개별 자산 권리·등기 상태
  • 인허가·계약 승계 여부
  • IP·고객 데이터·직원 이동
  • 부채 제외 항목 확인
주식 매각 DD
  • 법인 전체 실사
  • 소송·규제·지배구조·우발채무
  • 세무조정·재무제표 적정성
  • R&W 강화 필요
관련 용어: DD, VDR, R&W

7. 매수자 입장에서의 선택 기준 (Buyer Perspective)
  • 리스크 낮추기 → 자산 매각 유리
  • 속도·비용 중시 → 주식 매각 유리
  • 계약·인허가가 복잡 → 주식 매각 선호
  • 기술/IP만 인수 필요 → 자산 매각
  • 전체 기업 운영 목표 → 주식 매각

8. 매도자 입장에서의 선택 기준 (Seller Perspective)
  • 기업 전체 매각/경영권 매각 → 주식 매각
  • 비핵심자산만 매각 → 자산 매각
  • 세금 부담 최소화 → 주식 매각 선호 경향
  • 부실자산·부채 정리 필요 → 자산 매각
  • 사업부 분리 전략(Carve-out) → 자산 매각

9. 간단 시나리오 예시 (Illustrative Examples)
사례 A — 자산 매각 선택
A사는 비핵심 사업부의 고객·직원·장비만 선택적으로 매각하였다.
부실 부채는 제외했고, 인허가만 신규 취득하여 리스크 없는 구조를 달성하였다.
사례 B — 주식 매각 선택
B사는 자회사 지분 100%를 주식매각 방식으로 매도하였다.
법인은 동일하게 유지되었고, 계약·인허가가 그대로 승계되어 빠른 종결이 가능했다.
관련 용어: APA, SPA, Carve-out

10. 핵심 정리 (Key Takeaways)
  • 자산 매각은 선택적 인수, 주식 매각은 전체 승계라는 본질적 차이가 있다.
  • 자산 매각은 리스크 관리 중심, 주식 매각은 신속성·단순성이 강점이다.
  • 세무·계약승계·규제요건에 따라 최적 구조가 달라진다.
  • 많은 기업은 두 구조를 결합한 혼합 구조(Hybrid Deal) 도 활용한다.
관련 용어: Asset Sale, Stock Sale, APA, SPA

참고자료 (References)
  1. Wyrick Robbins. “M&A Transaction Structures: The Difference Between an Asset Sale and a Stock Sale.” https://www.wyrick.com/news-insights/ma-transaction-structures-the-difference-between-an-asset-sale-and-a-stock-sale/ wyrick.com 
  2. PwC Korea (삼일회계법인 중소벤처기업 M&A지원센터). M&A 가이드북 – 매각/분할/재편 관련 실무 안내 (PDF). https://www.pwc.com/kr/ko/services/samilpwc_mna_guide-book.pdf pwc.com 

Related Articles
자산 매각 (Asset Sale)
주식 매각 (Stock Sale)
주식매매계약(SPA)
영업양수도(APA)
실사(Due Diligence)
인수 후 통합(PMI)
Carve-out 매각
 
쿠키딜 플랫폼
쿠키딜은 어떤 플랫폼인가요?
쿠키딜은 대한민국 중소기업(SME)의 매각, 투자 유치, 및 M&A를 지원하는 프라이빗 딜 네트워크​입니다. 매도자, 매수자, M&A 관계자를 연결하여 거래의 효율성과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플랫폼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