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nA Insight
해외 M&A 성공 사례. 빅토리아 시크릿
2025. 1. 23.
빅토리아 시크릿(Victoria's Secret), 성공적인 M&A를 통한 변신의 아이콘
빅토리아 시크릿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여성용 속옷 및 란제리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 브랜드가 오늘날의 위치에 이르기까지는 여러 전략적 변화와 결정이 필요했으며,
그 중심에는 성공적인 인수합병(M&A)이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빅토리아 시크릿이 어떻게 성공적인 M&A 사례가 되었는지 그 과정을 살펴봅니다.
빅토리아 시크릿의 변화와 성장
빅토리아 시크릿은 1977년 로이 레이먼드에 의해 창립되었으며,
초기에는 남성이 여성용 속옷을 구매하기 편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그러나 이 브랜드는 창립자의 기대만큼 빠르게 성장하지 못했고, 1982년 레스 웩스너의 더 리미티드(Limited Brands, 현재의 L Brands)에 의해 인수되면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습니다.
M&A를 통한 전략적 재포지셔닝
레스 웩스너는 빅토리아 시크릿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여성을 주요 타깃 고객으로 전환하는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이를 위해 매장 디자인을 고급화하고,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여 여성들이 자신을 아름답게 느낄 수 있는 고급 란제리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러한 전략적 재포지셔닝은 빅토리아 시크릿이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성장 전략의 일환으로서의 M&A
빅토리아 시크릿의 성공적인 M&A 사례는 단순히 회사 인수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L Brands는 빅토리아 시크릿을 포함하여 여러 패션 및 소매 브랜드를 인수, 합병하며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회사가 경제적 변동성에 대응하고,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시사점
빅토리아 시크릿의 M&A 사례는 전략적 인수가 기업의 성장과 변화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레스 웩스너의 더 리미티드에 의한 인수는 단순한 자본 투자를 넘어서, 빅토리아 시크릿이 세계적인 란제리 브랜드로 거듭나는 데 필요한 전략적 지향점과 리소스를 제공했습니다.
오늘날, 빅토리아 시크릿은 여성 속옷 산업에서 눈부신 성공을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M&A를 통한 브랜드 성장과 재포지셔닝의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여담
빅토리아 시크릿의 이러한 성공과는 별개로 초기 창업주는 로이 레이먼드는 이러한 성공을 누리지 못했습니다.
창업 이후 사업이 어려워 지자 사업을 초기에 매각했기 때문입니다.
매각 이후로도 어린이 용품 기업을 설립하였으나 계속되는 사업 실패로 인해 그는 우울증에 시달리다 안타깝게도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습니다. 회사를 인수한 레스 웩스너와는 너무나 대비되는 삶인 것 같습니다.
M&A 를 통해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지만 최근에는 사실 또 상황이 달라져 있습니다.
빅토리아 시크릿은 2000년대 초반 까지만 하여도 엄청나게 핫한 패션 기업중 하나였지만 사실은 2010년대 후반부터는 사업이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하였습니다.
주 고객인 여성 고객들의 인식이 바뀌면서 기존의 마케팅 전략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에 주가는 엄청 내리막길을 걸었고 매각설 또한 돌았습니다.
현재는 새로운 CEO를 영입하고 기존의 마케팅 전략을 버리고 새로운 전략으로 재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남자들이 원하는 여성성에 집중한 전략을 펼쳤지만, 이제는 남자들이 원하는 속옷이 아닌 여자들이 원하는 속옷에 집중하는 모습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러한 전략이 앞으로 빅토리아 시크릿의 미래를 어떻게 만들어 줄지가 궁금합니다. 다시 또한 이 기업이 M&A 될지도 모를 일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