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Insight
Financial Knowledge
자산 양수도와 영업 양수도의 차이점, 쉽게 이해하기
Apr 2, 2025
기업 인수합병(M&A) 과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인 '자산 양수도'와 '영업 양수도'.
중소기업 인수합병(M&A) 과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인 '자산 양수도'와 '영업 양수도'.
이 둘은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개념을 쉽게 설명하고,
실제 사례를 통해 이해를 도와드리겠습니다.
오늘은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산 양수도란?
2. 영업 양수도란?
3. 자산 양수도와 영업 양수도의 주요 차이점
4. 실제 사례로 보는 차이점
1. 자산 양수도란?
자산 양수도는 기업이 보유한 특정 자산을 선택적으로 다른 기업에 양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자산'은 토지, 건물, 기계 설비 등 유형자산뿐만 아니라 특허권, 상표권 등의 무형자산도 포함됩니다. 중요한 점은, 자산만을 양도하므로 부채나 고용 관계 등의 승계 의무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예시: A 기업이 보유한 공장을 B 기업에 매각하는 경우, 이는 자산 양수도에 해당합니다. 이때 B 기업은 공장만을 인수하며, A 기업의 부채나 직원에 대한 고용 승계 의무는 없습니다.
2. 영업 양수도란?
반면, 영업 양수도는 기업이 영위하는 특정 사업 부문 전체를 양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해당 부문의 자산, 부채, 인력, 영업권 등 모든 것을 포괄적으로 이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고용 승계 의무가 발생하며, 기존의 거래처와의 계약, 브랜드 가치 등도 함께 이전됩니다.
예시: 최근 직방이 삼성SDS의 홈 IoT 사업부를 인수한 사례가 있습니다. 이 거래를 통해 직방은 해당 사업부의 자산, 부채, 직원, 브랜드, 기존 고객, 협력사 등을 모두 인수받았습니다. 이는 영업 양수도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3. 자산 양수도와 영업 양수도의 주요 차이점

4. 실제 사례로 보는 차이점
자산 양수도 사례: 대구백화점이 본점을 제이에치비홀딩스에 매각한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이 거래에서 제이에치비홀딩스는 대구백화점 본점 건물만을 인수하였으며, 직원 고용 승계나 법적 책임은 인수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인수 후 해당 부지를 원하는 대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영업 양수도 사례: 앞서 언급한 직방과 삼성SDS의 홈 IoT 사업부 인수 사례처럼, 사업 부문 전체를 인수하여 기존의 자산, 부채, 직원, 브랜드, 고객, 협력사 등을 모두 승계하는 경우입니다.
5. 마무리
자산 양수도와 영업 양수도는 기업 인수합병 시 서로 다른 전략과 목적을 가지고 활용됩니다.
자산 양수도는 특정 자산만을 인수하여 부채나 고용 승계 의무를 피할 수 있는 반면, 영업 양수도는 사업 부문 전체를 인수하여 기존의 영업 활동을 지속하거나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업의 상황과 목표에 맞게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쿠키딜은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M&A를 위해 함께합니다. 중소기업 매각, 인수 관련 자문이 필요하시다면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전문가들이 친절하게 상담해 드립니다.
자산 양수도와 영업 양수도를 통해 내 기업을 매각하고 싶다면 어떡하나요?
쿠키딜 M&A 절차 완벽 가이드: 단계별 프로세스 - 매각편
쿠키딜의 M&A 절차는 기업 대표님들이 복잡한 거래 과정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철저히 고민하여 설계되었습니다.
부가적인 것들이 아닌 본질에 집중하고, 본질을 이루기 위해 밤낮없이 뛰는 전담 매니저의 전문적 지원과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쿠키딜에서 성공적인 기업 매각을 이루세요.
